온누리상품권은 지역 경제와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품권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의 종류 및 온라인 사용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개요
온누리상품권은 전국의 전통시장과 지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상품권입니다. 소비자는 이 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합니다. 소상공인 시장 진흥공단이 일정 부분 비용을 부담해 주기 때문에, 5%에서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종류
온누리상품권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며, 각기 다른 형태로 제공됩니다.
지류 상품권
지류 상품권은 종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문화상품권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 종류: 5천 원, 1만 원, 3만 원
– 구매 한도: 1인당 월 50만 원 (5% 할인 적용)
전자 상품권
전자 상품권은 카드 형태로 제공되며, 충전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종류: 5만 원, 10만 원, 멤버십 카드
– 구매 한도: 별도 안내 없음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상품권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제로페이와 연계되어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
– 종류: 5천 원, 1만 원, 3만 원, 5만 원, 10만 원
– 구매 한도: 1인당 월 100만 원 (10% 할인 적용), 소상공인은 월 200만 원 한도 제공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온누리상품권의 구매는 다양한 은행 및 금융 기관을 통해 가능합니다.
지류 상품권 구매처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KB 국민은행
- 대구은행
- 부산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경남은행
- 수협
- 신협
- NH 농협은행
- 우체국
- MG 새마을금고
- IBK 기업은행
- 하나은행
전자 상품권 구매처
- 우리은행
- 대구은행
- 부산은행
- 경남은행
- IBK 기업은행
- NH농협은행
- 비씨카드
모바일 상품권 구매처
- 농협 올원 뱅크
- 경남 투유 뱅크
- 광주 스마트뱅킹
- 대구 IM뱅크
- 부산 썸 뱅크
- 전북 뉴스마트 뱅킹
- 머니트리
- 비플제로 페이
- 체크페이
- 페이코
- 유비페이
- 신한은행 (SOL)
- 핀트
- 핀크
- 제로페이 온
- 티머니 페이
- 제로 페이 010
- 시럽 스마트월렛
- 우리은행 (WON)
- 콕 뱅크
온라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온누리상품권은 온라인에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용처를 참고하세요.
전자 온누리상품권 온라인 사용처
- 우체국 전통시장
- 온누리 팔도시장
- 피시 세일
- 제주 전통시장
- 사람 풍경
- 온누리 시장
- 지마켓
- 옥션
전자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온라인 사용처
- 온누리 전통시장
- E 경남 몰
- 온누리 굿데이
- 인 더 마켓 온누리 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온라인 사용처
- 놀장
- 가치 삽시다
- 장보다
- 꼼지락 배송
- 위메프 오
- 장봄
결론
온누리상품권은 지역 경제를 지원하면서 소비자에게 경제적 혜택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구매처와 사용처를 통해 알뜰한 소비를 실천할 수 있으니, 여러분도 온누리상품권을 적극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온누리상품권은 어떻게 구매하나요?
온누리상품권은 주요 은행 및 금융 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지류, 전자, 모바일 상품권으로 나뉘어 있으니 원하는 형태로 구매하시면 됩니다.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은 무엇인가요?
온라인에서는 전자 및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온라인 전통시장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할인률은 어떻게 되나요?
온누리상품권은 구매 시 5%에서 10%의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할인률은 상품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
온누리상품권의 유효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온누리상품권의 유효기간은 구매 후 5년입니다. 사용하지 않을 경우 유효기간 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소상공인은 온누리상품권을 어떻게 활용하나요?
소상공인은 온누리상품권을 통해 식자재 및 부자재 구매 시 전용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월 200만 원까지 한도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