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2년 겨울철을 맞아 한파 및 난방비 상승에 대비한 종합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시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파 대비 지원
노숙인 및 취약계층 지원
서울시는 노숙인을 위한 방한용품을 전년 대비 58.6% 증가한 80,600점 지원합니다. 또한, 아동 보호시설의 난방비 지원과 무료 급식 서비스도 확대하여 1일 2,137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거리 상담 인력을 겨울철에는 최대 107명으로 증원하여 노숙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합니다.
생필품 지원 및 긴급복지
쪽방 주민을 위해 41,185점의 생필품을 지원하며, 이에는 식료품과 난방용품이 포함됩니다.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1,200명의 돌봄단이 위기가구를 찾아 지원하며, 저소득 가구에 월동대책비 5만 원을 지원합니다.
제설 및 안전 대책
제설 운영
서울시는 겨울철 강설에 대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며, 주요 지역에 제설 장비와 인력을 배치합니다. 특히 경사 지역과 제설 취약 구간은 특별 관리하여 시민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안전 점검
연말연시 대규모 군중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합니다. 공연장과 경기장 등 600여 개소에 대해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여 시민들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보건환경 대책
코로나19 예방접종
서울시는 코로나19 백신을 3,397개소에서 접종할 수 있도록 운영하며, 트윈데믹에 대비한 대응 역량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감염병 확산을 예방할 계획입니다.
민생 안정 방안
에너지 절약 및 물가 안정
공공기관의 실내 온도를 17℃로 제한하여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며, 김장철 및 명절 성수 식품 공급 확대를 통해 서민 물가 안정을 추진합니다.
[표: 서울시 겨울철 종합 대책 비교]
| 항목 | 내용 |
|---|---|
| 노숙인 지원 | 방한용품 80,600점, 무료급식 1일 2,137명 지원 |
| 생필품 지원 | 쪽방 주민 41,185점 생필품 지원 |
| 안전 대책 | 600여 개소 특별 안전 점검 실시 |
| 에너지 절약 | 공공기관 실내 온도 17℃ 제한 |
| 백신 접종 | 3,397개소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
자주 묻는 질문
겨울철 난방비 지원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서울시는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5만 원의 월동대책비를 지원합니다. 해당 지원은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한파 지원 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나요?
한파 지원 프로그램에는 노숙인을 위한 방한용품 지원, 아동 보호시설 난방비 지원, 무료 급식 서비스 등이 포함됩니다.
겨울철 제설 대책은 어떻게 운영되나요?
서울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며, 주요 지역에 제설 장비와 인력을 배치하여 시민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어디서 하나요?
서울시는 3,397개소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진행하며, 사전예약 시스템을 통해 쉽게 접종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황야의 이리: 헤르만 헤세의 자아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