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공연에서 좋은 관람 경험을 위해서는 무대와의 거리, 음향, 시야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미스터트롯3〉 전국투어 콘서트는 12곳의 대형 공연장에서 진행되며, 각 공연장마다 좌석 구조와 음향 특성이 다릅니다. 예매 전에 꼭 알아두어야 할 좌석 추천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보이기
공연장별 좌석 리뷰
진주실내체육관 (4.12~13)
- 무대 구조: 평지형 + 이동식 스테이지
- 추천 좌석: A구역 앞열 및 중간 라인
- 주의사항: 사이드 B구역은 스피커 뒷면에 위치해 음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벡스코 오디토리움 (부산, 4.19~20)
- 무대 구조: 단차 구조, 층별 구분이 명확
- 추천 좌석: 1층 중앙, 2층 R석 라인
- 비추천 좌석: 3층 가장자리, 시야 방해가 우려됩니다.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5.10~11)
- 무대 구조: 사각형 플랫구조
- 추천 좌석: 앞줄보다 중간 구간이 음향 밸런스가 뛰어납니다.
- 특징: VIP구역이 좁아 R석 중앙이 오히려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5.17~18)
- 무대 구조: 전통형 오페라 좌석 배치
- 강력 추천 좌석: 2층 중앙 맨 앞줄
- 주의사항: 3층은 무대와 거리가 멀고 경사가 급할 수 있습니다.
송도컨벤시아 (인천, 5.31~6.1)
- 무대 구조: 가변형 평면 구조
- 추천 좌석: A구역 중앙 또는 좌우 라인 5~10열
- 비추천 좌석: B구역 끝쪽, 공간이 협소하고 스피커가 가려질 수 있습니다.
창원컨벤션센터 (6.21~22)
- 무대 구조: 정면 평면 배치형
- 추천 좌석: A1~A3 구역 중간 후열
- 비추천 좌석: A5, A6 구역 양끝 측면 좌석은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이사항: 좌석 간 간격이 좁아 큰 짐을 지참할 경우 불편할 수 있습니다.
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모악당 (6.28~29)
- 무대 구조: 전통형 공연장, 1층/2층/3층 구조
- 추천 좌석: 2층 1열 중앙좌석 / 1층 B열~E열 중앙
- 비추천 좌석: 3층 측면 R석, 높이와 시야각이 불리할 수 있습니다.
- 특이사항: 음향 설계가 뛰어나며, 오케스트라 공연이 많습니다.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스포츠센터 (7.5~6)
- 무대 구조: 체육관형 평면 구조
- 추천 좌석: A구역 6~10열 / B구역 정면 15열
- 비추천 좌석: C·D구역 좌우 코너, 스피커 및 조명 타워 가림 우려가 있습니다.
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7.12~13)
- 무대 구조: 전시장 내 가변형 스테이지
- 추천 좌석: B구역 중앙 / A구역 3~6열
- 비추천 좌석: D구역 뒤쪽은 스피커와 조명 뒤편에 위치합니다.
수원 경희대 국제캠퍼스 선승관 (7.19~20)
- 무대 구조: 대강당식 무대 + 계단형 좌석
- 추천 좌석: 2층 1열 정중앙 / 1층 C~F열
- 비추천 좌석: 2층 측면 라인, 각도가 좁고 기둥이 있어 시야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좌석 예매 팁
- 중앙 중간 줄 좌석이 시야와 음향 모두에서 균형을 이룹니다.
- 측면 앞줄보다 중간 라인의 정중앙 좌석이 만족도가 높습니다.
- 2층 좌석 선택 시 맨 앞줄이나 정중앙이 가장 좋습니다.
- 체육관형 좌석은 무대와의 거리 때문에 오히려 불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어느 좌석이 가장 추천되나요?
가장 추천하는 좌석은 각 공연장의 중앙 중간 줄입니다. 시야와 음향이 모두 균형을 이룹니다.
질문2: 예매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좌석의 구조와 음향 특성을 고려하여 비추천 좌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사이드 좌석은 음향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3: 공연장별 좌석 간격은 어떤가요?
대부분의 공연장에서는 좌석 간 간격이 넉넉하나, 일부 공연장은 간격이 좁아 큰 짐을 지참할 경우 불편할 수 있습니다.
질문4: 2층 좌석은 어떤 선택이 좋은가요?
2층 좌석은 맨 앞줄이나 정중앙이 음향과 시야 모두에서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질문5: 음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음향은 공연의 전반적인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무대와의 거리 및 좌석 위치에 따라 음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