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막 비닐하우스시공: 서천군 서면 현장 사례와 설계 포인트



농막 비닐하우스시공: 서천군 서면 현장 사례와 설계 포인트

아래를 읽어보시면 서천군 서면 현장에 적용된 6m 폭의 농막 비닐하우스 시공 사례와 주요 설계 포인트, 피복재 구성, 관리 팁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현장 상황과 목표

  • 위치 및 규격: 충남 서천군 서면의 농지에 설치되었고, 폭 6m에 길이 10m의 직사각형 틀로 구성되었습니다. 측고 1.9m, 동고 3.5m로 작업 동선과 출입 공간 확보를 우선했습니다.
  • 의뢰 배경: 기존 하우스가 폭설로 붕괴되어 철거한 뒤, 신규 시공을 요청받았습니다. 기존 구조는 파이프 두께가 얇고 간격이 넓어 눈에 취약한 편이었습니다.
항목 치수
규격 폭 6m x 길이 10m
측고/동고 측고 1.9m, 동고 3.5m
골조 파이프 32mm KS 아연도금
피복재 구성 0.1장 피복재 + 압축솜 150g + 0.15 차광필름 + 사중직 차광막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구조 설계와 자재 구성

  • 프레임 및 기초 설계: 폭 6m, 길이 10m의 골조로 직사각형 틀을 만들고, 양쪽에 인발대 말뚝을 기계로 박아 기초를 단단히 다졌습니다. 파이프는 KS 규격의 32mm로 시공했습니다.
  • 피복재 구성의 의도: 다층으로 외피를 구성해 보온성과 내구성을 높였고, 고객의 요구에 맞춰 4겹 구조로 피복재를 조합했습니다. 비닐과 차광필름 사이에는 보온재를 삽입해 보온 효과를 강화했습니다. 햇빛 투과율은 내부 액세스에 영향 없이도 99%대가 유지되도록 설계했습니다.

추가 정보
– 피복재 구성은 4겹으로 구성되었으며, 앞서 설명한 순서로 설치했습니다. 외부에 초록색 사중직 차광막을 씌워 비닐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기대했습니다.
– 내부 보강: 기존 하우스가 붕괴된 상황을 고려해 내부에 48mm 파이프 지지대를 2포인트로 배치해 구조적 견고함을 강화했습니다.

시공 절차와 현장 조정

  • 기초 작업과 깊이 정렬: 땅이 약간 경사진 현장이어서 좌우 인발대 깊이를 수평으로 맞추고, 높은 쪽은 약 70cm, 낮은 쪽은 약 50cm를 박아 기초를 안정화했습니다.
  • 현장 당일 밴딩과 조정: 파이프 밴딩은 현장에서 바로 수행되었고, 현장 상황에 따라 폭과 높이 등을 필요에 맞게 조정했습니다. 추가로 두 포인트의 지지대 설치로 강도를 더했습니다.

출입구와 환기·채광 설계

  • 출입문 구성: 출입문은 기존 하우스에서 재활용한 형태로 앞쪽에 2개, 뒤쪽에 1개를 배치했습니다. 문 크기는 폭 1.2m, 높이 1.8m로 표준화했습니다.
  • 환기 및 채광 옵션: 앞뒤에 전기셔터식 환풍기를 설치해 습기와 냄새 배출을 원활히 했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1m급의 기성품 출입문을 양쪽에 설치해 채광과 환기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필요 시 추가 옵션으로 창문과 환풍기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 가능합니다.

관리 및 수명 연장 팁

  • 차광막과 수명 관리: 차광막 사용으로 비닐의 마모를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보온재를 함께 사용해 내부 온도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관리로 5~6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현장 마무리와 인수인계: 남은 자재는 현장에 남겨 두고 고객이 정리하도록 안내했습니다. 하우스는 다용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 시 채광·환기 옵션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